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59

포교 오십년 공부 종필(布敎五十年工夫終畢)

1909년 6월이 되었다 모든 천지공사를 다 마치신 상제님께서는 ‘布敎五十年工夫終畢(포교 오십년 공부 종필)’이라 쓰신 종이를 불사르시고는, 모여 있는 종도들에게 “이윤(伊尹)이 오십이지사십구년지비(五十而知四十九年之非)를 깨닫고 성탕(成湯)을 도와 대업을 이루었나니, 이제 그 도수를 써서 물샐틈없이 굳게 짜 놓았으니 제 도수에 돌아 닿는 대로 새 기틀이 열리리라”고 알려주셨다 그리고 “9년간 행하여 온 개벽공사를 천지에 확증하리라 그러므로 너희들이 참관하고 확증을 마음에 굳게 새겨 두라 천지는 말이 없으니 뇌성과 지진으로 표명하리라 ” 하시며 글을 써서 불사르시니, 갑자기 천둥이 치고 땅이 크게 흔들렸다 이윤은 약 3,600년 전에 은나라의 탕임금을 도와 하나라의 폭군 걸왕을 물리친 재상이다 원래 이윤은..

philosophy' 2025.07.09

진리가 마음에 배고 몸으로 행하도록

해원상생·보은상생의 양대 진리가 마음에 배고 몸으로 행하도록 하여야 한다 상제님께서는 천하를 대순하시고, 지상선경을 건설하시고자 인세에 강세하셔서 전무후무한 진리의 도를 선포하셨다 그 도는 해원상생(解冤相生)과 보은상생(報恩相生)의 양대 진리로서 인간이 따라야 할 실천 윤리이기도 하다 해원은 원을 맺고 푸는 것이 나에게서 비롯됨을 깨닫고 내가 먼저 상대와 맺었던 원한을 풀어 가는 것이다 보은은 우리의 삶이 수많은 은혜로부터 주어진 것임을 알고 남에게 받은 은혜에 보답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관계가 될 때 서로가 잘 되는 상생이 이루어져 화평한 세상이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이 해원상생과 보은상생의 진리이다 도전님께서는 이러한 해원상생과 보은상생의 진리를 마음에 배고 몸으로 행하도록 해야 한다고 하시며 우리..

philosophy' 2025.07.09

광구천하

상제님의 대순진리를 실천할때 현실의 모순극복을 이룰수 있어 상제님께서는 1871(辛未)년 전라북도 고부군 우덕면 객망리(현 정읍군 덕천면 신월리)에서 강세하시어 이 땅에 후천선경(後天仙境)이라는 새로운 세계에 대한 기틀을 정초하셨다. 상제님은 전경(典經)에 기록되어 있는 바와 같이 천하를 대순하시다가 삼계대권(三界大權)을 주재하시어 이 땅에 강세하셨다. 상제께서는 19세기 말엽의 극도로 혼란했던 시대적 상황속에서 천하를 광구(匡救)하여 후천선경을 건설하고자 하는 원대한 뜻을 품고 천하를 주유하시며, 인세의 속정을 살피신 끝에 1901(辛丑)년에 천지대도를 열어 새 시대의 진리인 대순사상(大巡思想)을 인류사회에 홍포하셨다.상제께서 이 땅에 홍포하신 대순진리는 개벽을 통해 후천선경을 건설하는 개벽사상과 천지..

philosophy' 2025.07.08

겁액의 극복

모든 일에 그 목적을 달성하려는 과정에는 반드시 장애가 있으니 이것을 겁액이라 한다. 겁액을 극복하고 나아가는 데 성공이 있음을 알아야 한다. 위의 구절은 도전님께서 도인들이 수도생활을 하는 과정에 겪게 되는 장애와 어려움인 겁액에 대해 훈시하신 내용이다. 도전님께서는 모든 일에 그 목적을 달성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장애를 ‘겁액(劫厄)’이라고 하셨다. 겁액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글자가 가진 사전적인 뜻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겁(劫: 去+力)은 가려고 하는 것을 힘으로 위협하여 못 가게 한다는 뜻이고, 액(厄: 厂+㔾)은 무릎을 꿇은 사람이 벼랑 아래로 굴러떨어져 있다는 데서 ‘재앙’이나 ‘불행한 일’을 뜻한다. 즉, 겁액은 가고자 하는 길을 외력에 의해 못 가게 되는 재앙이나..

philosophy' 2025.07.08

인존시대

증산께서는 일찍이 인류의 앞날에 대한 밝은 미래상을 제시하신 가운데 천존(天尊)과 지존(地尊)보다 인존(人尊)이 크나니 이제는 인존시대니라과 말씀하셨다. 오늘의 인간이 삶의 바쁜 좌표와 방향을 잡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는 마당에 인간의 활로를 열고, 새 지표인 인간중심 인간존중의 인존사상을 밝혀주셨다.오늘의 세계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빈곤하다. 합리적 목적을 추구하면서도 극도로 불합리하다.평화를 주장하면서도 전쟁을 일삼고 있다. 더욱 현대문명이 낳은 각종병폐보다 더 염려스러운 것은 깊이 잠재해 있는 인간 상호간의 불신풍조와 소외현상이다. 문명은 발달했으나 인간은 병들고 현란한 물질문명 속에서 자기를 상실해 가고 있다.인간의 존엄성은 짓밟히고 사람의 가치는 물질적 척도에 의해 계량화되는 비인간화의 세계에서 인..

philosophy' 2025.07.08

상제님의 덕화

현대인은 물질문명의 온갖 병폐에 시달리며 고민 불안 초조 공포속에 살아가는 존재로 전락하였다. 인간의 힘만으로 이 불행을 극복할 수 없는 – 아무리 노력해 보아도 그리고 온 지혜와 힘을 모아서도 인류의 불행 즉 생존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한계에 이르자 九天의 상제님께서 천하를 대순하시다가 이 땅(한국)에 강세하여 인류를 광구하기 위해 그 원인을 규명하고 천지공사를 역사하셨다. 상제님께서 「先天에서는 인간 사물이 모두 상극에 지배되어 세상에 원한이 쌓이고 맺혀 삼계를 채워 참혹하게 되었다」고 말씀 하신대로 천지조판이래 온통 세상은 돌이킬 수 없는 상극 불응이 생겨 신명계와 인간계서 포한이 일어나 마침내 진멸의 위국으로 치닫게 되었다. 이에 즈음하여 상제님께서 해원상생의 신도로서 천하광구의 은총을 베푸셨다..

philosophy' 2025.05.31

대순진리회 창도

해원상생을 종교윤리로 대순진리바탕 정신개벽(精神開闢)·인간개조 대순진리회는 1909년 4월에 排日사상을 품으시고 만주봉천지방으로 망명, 배일구국운동을 전개했던 조정산(趙鼎山)도주께서 창도했다. 도주님은 도력으로 조국을 구하겠다는 일념으로 입산수도, 전념하시던 중에 강증산상제의 종통계성의 천명에 따라 대순진리에 감오득도하신데서 비롯된다. 도주님은 망명9년 만에 배일구국과 구제창생의 큰 뜻을 품고 귀국, 도장을 건설하고 민족의 얼을 전승할 수 있는 민족종교의 문을 여신 것이다. 때마침 민중은 갈 바를 모르고 방황하면서 민족의 정신적 지주를 찾고 있던 중 도주님은 이때에 민족의 자각과 주체사상으로서 해원상생의 대순진리를 선포하게된 것이다. 그러므로 대순진리회는 이와 같은 창도이념에서 대순의 진리를 담고 있..

philosophy' 2025.05.30

마음챙김 명상에서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가요?

마음챙김 명상은 현대인에게 매우 중요한 주제 중 하나에요. 스트레스와 불안이 만연한 이 시대에 마음챙김 명상은 우리에게 큰 도움이 될 수 있죠. 오늘은 마음챙김 명상에서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마음챙김 명상이란? 마음챙김 명상은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연습이에요. 이 명상은 불교에서 유래되었지만, 현대 심리학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요. 마음챙김 명상은 우리가 일상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불안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답니다. 마음챙김 명상의 효과 마음챙김 명상은 여러 가지 효과가 있어요. 첫째, 스트레스 감소에 도움을 줘요. 연구에 따르면, 정기적으로 마음챙김 명상을 하는 사람들은 스트레스 수준이 낮아진다고 해요. ..

philosophy' 2025.05.29

마음챙김을 통해 내면의 평화를 유지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마음챙김은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는 개념이에요. 바쁜 일상 속에서 우리는 종종 스트레스와 불안에 시달리게 되죠. 그래서 오늘은 마음챙김을 통해 내면의 평화를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해요. 😊 마음챙김은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연습이에요. 이 개념은 불교에서 유래되었지만, 현대 심리학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요. 마음챙김은 단순히 명상하는 것만이 아니라, 일상생활 속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죠. 마음챙김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면, 불교의 가르침에서 시작되었고, 이후 서양 심리학에서도 그 효과가 입증되었어요. 특히, 스트레스 감소와 정신적 안정에 큰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많아요. 마음챙김의 네 가지 기초 마음챙김의 기초는..

philosophy' 2025.05.28

사법계의 네 가지 관점은 어떻게 서로 연결되나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사법계의 네 가지 관점과 법계연기에 대해 이야기해볼게요. 이 두 가지 개념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는지 알아보면서, 우리가 사법계를 이해하는 데 어떤 도움이 되는지 살펴보도록 할게요. 😊 사법계는 법과 정의를 다루는 중요한 분야로, 여러 가지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사법계의 네 가지 관점은 다음과 같아요: 법적 관점 : 법률과 규정에 따라 사건을 판단하는 관점이에요. 사회적 관점 : 법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는 관점이에요. 윤리적 관점 : 법의 정의와 도덕성을 따지는 관점이에요. 심리적 관점 : 법적 결정이 개인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관점이에요. 이 네 가지 관점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관점이 사건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법계연기란..

philosophy' 2025.05.27
반응형